본문 바로가기
경제

주휴수당 지급 조건 : 간편 계산하기 2025년

by space-blog 2025. 4. 3.

    [ 목차 ]

2025년 주휴수당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주휴수당이란 무엇인가요?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1주 동안 소정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유급 휴일 수당입니다. 즉,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하루의 휴일을 보장하고 그에 따른 임금을 지급하는 것입니다.

 

주휴수당을 받기 위한 조건

 

주휴수당 계산 방법은 아래 링크를 통해 간편하게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주휴수당을 받으려면 다음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일주일에 정해진 근무일수를 근무해야 합니다: 예정된 근무일을 모두 근무해야 합니다.
일주일에 최소 15시간 이상 근무: 주당 최소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 
2025년 최저임금 및 주휴수당 계산하기
2025년 최저임금은 10,030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주휴수당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 40시간 근무자의 경우:
    • 주휴수당: 1일 근로시간(8시간) × 시급(10,030원) = 80,240원
    • 월 주휴수당: 80,240원 × 월 평균 주 수(4.345주) ≈ 348,500원
  • 주 20시간 근무자의 경우:
    • 주휴수당: (20시간 / 40시간) × 8시간 × 10,030원 = 40,120원
    • 월 주휴수당: 40,120원 × 4.345주 ≈ 174,400원

이러한 계산을 통해 근로시간에 비례하여 주휴수당이 지급됩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 간편 계산하기 2025년

주휴수당 계산 방법

 

주휴수당은 다음 공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간 총 근로시간 / 40시간) × 8시간 × 시급

 

예를 들어, 주 30시간 근무하고 시급이 10,030원인 경우:

(30시간 / 40시간) × 8시간 × 10,030원 = 60,180원

 

이렇게 계산된 금액이 해당 주의 주휴수당이 됩니다.

 

주의사항

  • 퇴사 시 주휴수당: 주휴수당은 다음 주에 근로가 예정된 경우에만 발생합니다. 따라서 퇴사 주에는 주휴수당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미지급 시 처벌: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근로기준법 제110조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중요한 제도이므로, 정확한 이해와 적용이 필요합니다.